2011년 4월 24일 일요일

사리다

김훈의 짧은 글 "밧줄의 아름다움"에서 '사리다'가 이미 알고 있던 의미와 다르게 사용된 경우를 알게 되었다. 이미 알고 있는 '사리다'는 '몸을 사리다'로 쓰일 때 의미였는데 '밧줄을 사리다'라는 의미로 쓰였길래 사전을 찾아봤다. 동아 새국어사전에는 이렇게 나와 있다.

사리다 1) (국수나 새끼 따위를) 헝클어지지 않게 빙빙 둘러서 포개어 감다 2) (뱀 따위가 몸을) 똬리처럼 감다. 3) (비어져 나온 못끝 따위를) 꼬부려 붙이다. 4) (겁먹은 짐승 따위가 꼬리를) 뒷다리 사이로 끼다. 5) (몸을) 아끼다. "몸을 ~ "6) 정신을 바짝 가다듬다 "마음을 사려 먹고 굴속으로 들어가다"

그러니까 '밧줄을 사라다'에서의 의미가 '사리다'의 첫째 의미였던 거다. 그런데 5의 의미만을 알고 있었으니... 내가 안다고 믿었던 단어의 의미가 얼마나 제한적이었는지를 깨닫는 순간이다.

"선원들은 밧줄을 소중히 다룬다. 밧줄이 엉키거나 꼬이지 않도록 늘 가지런히 사려놓는다."

김훈은 이 글에서 배의 선원들이 사용하는 밧줄, 암벽등반가의 자일, 소방관들이 서로를 엮는 호스와 같은 밧줄이 왜 아름다운지를 쓰고 있다.

"인간과 인간이 연결됨으로써, 인간은 개별적 존재로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일들을 수행해낼 수 있다. 그것이 밧줄의 아름다움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