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현대 지성 중 한 명인 테오도어 아도르노(1903-1969)의 강의록 시리즈가 국내에 번역되어 첫 선을 보였다. <부정변증법 강의>(세창 출판사, 이순예 역)를 시작으로 계속해서 다른 강의록이 앞으로 소개될 것이라고 한다.(한겨레 2012.8.29)
어렵기로 이름난 아도르노의 책을 조금 맛보긴 했지만 제대로 공부한 적은 없다.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정신적 지주였던 그의 사상은 철학, 윤리학, 문화, 자본, 미학 등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있고 독특한 사상체계와 비유, 은유적 표현 때문에 이해하기 쉽지 않은 철학자로 평가받는다.
아도르노 사상의 핵심은 '동일성'에 대한 사유라고 한다. 이성을 앞세운 서구의 합리주의는 개념과 사안(Sache, 대상이 되는 사태)을 강제로 일치시켜, 이미 존재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방식으로 인간의 의식을 발전시켜 왓다. 이런한 '동일성' 사고는 대상을 지배하는 착취의 성격을 띠는 것으로 본다. 아도르는 개념과 사안이 결코 일치할 수 없음을 깨닫고 그 문제점을 직시한다. 그래서 그는 "사안은 개념보다 크다", "전체는 비진리다"와 같은 말을 했다.
하지만 동시에 '사안은 개념을 통하지 않고선 인식될 수 없다'는 독일 관념론의 전통에서 벗어나지 않고 동일성 사유에서 벗어나는 새로운 사유를 모색한 것이 '부정변증법'이다.
쉬운 예로 "이순예는 여성이다"는 동일성 사유에 근거한 서술이라면 "이순예는 남성이 아닌 인간이다"와 같은 부정적 진술이야말로 보다 객관적인 진리로 나아가는 길이라고 보았다.
아도르노의 핵심적 사상은 사실 누구라도 쉽게 수긍할 수 있는 단순자명한 진리가 아닌가. 어떤 대상이나 사안이 결코 하나의 정체성으로 정의될 수 없다는 건 누구나 인정할 수 있지 않은가. 하지만 이런 인식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많은 성찰의 시간이 필요했는지도 모르겠다. 포스트포던의 시대에 와서야 이같은 인식에 도달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으니까. 물론 포스트모던 시대에도 여전히 동일성 사유의 틀은 완전히 깨지지 않고 완강하게 버티고 있다. 일상에서 정치판에서, 이데올로기에 포획된 시민의 생각 속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