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8월 20일 화요일

"본질적으로 정치적"인 문학

<밤이 선생이다>를 낸 황현산 평론가와의 인터뷰가 한겨레 신문에 실렸다(8월20일자). 몇 주 전에 이 책을 사놓고 조금씩 읽고 있는 중이다. 이 책을 사게 된 계기는 이전에 황현산 교수의 칼럼을 신문에서 가끔 보면서 그때마다 깨달음, 머리를 치는 혹은 가슴을 때리는 작은 충격을 받았다. 그래서 그의 글이 궁금해졌다. 인터뷰에서 책 제목에 대한 설명이 흥미로웠다.

"'밤은 선생이다'라는 문장이 단순히 밤의 신분을 말해 준다면, '이'라는 주격조사는 전혀 다른 늬앙스를 지닌다. 다른 어떤 것도 아닌, 오직 밤만이 선생이라는 뜻이 되는 것이다. 낮이 논리와 이성, 합리성의 시간이라면 밤은 직관과 성찰과 명상의 세계, 의견을 종합하거나 이미 있던 의견을 한 단계 끌어올리기 좋은 시간이라는 뜻을 담고 싶었다."

이러한 설명에서 우리는 그가 전공한 불문학과의 연관성을 볼 수 있다. 고려대 불문학 교수로 있다가 2010년에 은퇴한 그는 특히 프랑스 상징주의와 초현실주의 시를 전공해서 관련된 책과 번역서를 많이 냈다. 이 전공 영역은 어쩌면 '밤'의 상징성과 관계하는 지도 모르겠다. 그의 말대로 이 문예사조가 "우리 눈에 보이는 것 바깥에 다른 세계가 있다는 생각"을 문학화했다면 말이다. 그의 말을 더 들어보자.

"그런데 우리는 그 다른 세계를 눈에 보이는 것을 통해서만 알 수 있을 뿐이다. 보이는 것으로써 그 너머의 것을 봐야 하는 데에서 오는 난해함이 상징주의의 까다로움이다. 감각이 실제로는 그 다른 세계 자체라는 것이 상징주의의 핵심이다. 그리고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과 결합시켜서 그것을 확대하고 극단으로 밀고 나간 게 초현실주의다."

그의 설명은 어렵게만 느껴지는 이들 문학사조에 좀 더 쉽게 다가가게 만든다. 보이지 않는 것, 무의식의 세계는 어쩌면 밤의 세계와 닮아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책에서 미학적 감수성과 정치적 감수성을 일치시키고자 노력하고 있고 이에 대한 질문에 그는 이렇게 답한다.

"미학적이든 윤리적이든 절대적으로 완벽한 세계를 상정하고 환각으로서 그 세계를 보여주는 게 바로 시다. 그런데 그 환각은 환각으로서 그치는 게 아니라 현실에 대한 구체적 실천명령이 된다. 우리가 완벽하고 찬란한 어떤 것을 상상하는 것은 그런 것이 물질과 현실 속에 이미 있기 때문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나는 유물론자다. 일단 아름답고 완벽한 세계를 보고 나면, 현실에서 벽에 부닥치고 실패하더라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우리에게는 그런 아름다운 세계에 대한 굼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문학이나 문학을 하는 사람이 정치적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사회 현실에 관심을 갖는다는 의미에서다. 하지만 문인이 현실에서 구체적으로 정치적이어야 하지만 문학은 본질적으로 정치적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본질적으로 정치적'이란 말을 이렇게 설명한다.

"인간 존재의 가장 밑바닥에서부터, 작지만 오래 영향을 주어서 인간 자체를 바꿔 놓는 것을 말한다. 문학의 역할이 바로 그런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